1. NoSQL의 BASE 속성과 ACID 개념 비교
BASE ACID
- NoSQL 데이터베이스에서 최종 일관성 강조, 높은 가용성과 분산성을 위한 속성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트랜잭션 보장을 위한 4가지 특성

 

2. NoSQL의 BASE 속성과 ACID 상세 비교

가. NoSQL의 BASE 속성과 ACID 특성 비교

구분 BASE ACID
핵심사상 성능, 가용성 집중 Commit 집중
범위 시스템 전체 개별 트랜잭션
일관성 약한 일관성 강한 일관성
확장성 Scale-Out Scale-Up
구성요소 Basically Available
Soft State
Eventual Consistency
Atomicity
Consistency
Isolation
Durability

- 데이터베이스 적용 측면의 차이 존재

나. NoSQL의 BASE 속성과 ACID 적용 측면 비교

구분 BASE ACID
적용대상 NoSQL RDBMS
구현 복잡도 Complex Code Simple Code
적용 시스템 대용량 처리 응답속도 보장 트랜잭션 처리순서 보장
대표 제품 Redis, HBase Oracel, MySQL, MS-SQL

 

1.IT 거버넌스 프레임워크 개요

- 기업의 전략과 목표 부합 위해 IT 자원과 프로세스 통제, 관리 지원하는 체계
(특징) 기업 IT 전략 연계, 감시 및 통제

2. IT 거버넌스 프레임워크 및 상세

가. IT 거버넌스 프레임워크

IT 거버넌스 프레임워크

나. IT 거버넌스 프레임워크 상세

항목 적용 기술 설명
전략적 연계 ISP, ITA/EA 경영 의사결정 연계
가치 제공 ERP, CRM 프로세스 최적화
위험 관리 DRS, BCP 비즈니스 연속성
자원 관리 ITSM, ITAM IT 활용 극대화
성과 측정 IT BSC, ROI 무형 자산 가치

-  IT 거버넌스 참조 모델 존재

3. IT 거버넌스 참조 모델
구분 모델 설명
기획 EA/ITA 전사 기획 전략 수립시 참조
개발 CMMI, SPICE 품질, 성숙도
운영 ITIL ITSM Best Practice 제공
유지보수 SLA, SLM 서비스 수준 계약
평가 IT BSC IT 성과 평가

-  IT 거버넌스 수립 및 적용 위한 관리 필요

 

1. 서론

Datadog 이란?
- 데이터독은 퍼블릭 클라우드 환경에서 주로 사용되는 모니터링&옵저빌리티 SaaS 설루션이며, 설치형으로 제공되는 인프라, APM, DPM 등을 포함하여, 클라우드 자원 모니터링, 로그 모니터링, 클라우드 보안(CSPM, CWPP, SIEM 등)과 700+ 서비스 통합이 가능한솔루션입니다.
https://www.datadoghq.com/ko/
 

Cloud Monitoring as a Service | Datadog

See metrics from all of your apps, tools & services in one place with Datadog's cloud monitoring as a service solution. Try it for free.

www.datadoghq.com

 

  • 평소 업무상에서 데이터독 인프라, 로그, CSPM, SIEM 등을 활용하고 있었지만, 자격증 취득 필요성은 느끼지 못하고 있었고, 실제로 주변이나 블로그 검색을 해보면 취득하는 사람들이 많이 없는 것으로 보임
  • 데이터독 파트너십 등급 충족 요건에 자격증 요건이 변경되어, 근무 중인 사내 자격 요건 충족이 필요하게 되어, 시험에 대해서 검색한 뒤 빠르게 시험을 접수하였다.

2. 자격증 정보

Datadog Fundamentals
- Datadog Fundamentals 자격증은 Datadog 플랫폼의 기본적인 기능과 사용법에 대한 이해를 평가하는 인증입니다. 이 자격증은 데이터 모니터링, 로그 관리, 애플리케이션 성능 모니터링(APM), 인프라 모니터링 등 Datadog의 다양한 기능을 활용하는 데 필요한 기초 지식을 요구합니다.
https://www.datadoghq.com/certification/overview/
 

Datadog Certification | Datadog

Datadog's certification program strives to identify individuals who possess a deep understanding of installing, configuring, and using Datadog's products.

www.datadoghq.com

 

  • 시험 방식 : 객관식 90문제를 시간 내 풀어야 하며, 앞의 15문제는 시험 평가에 제외되며, 이후 75문제 중 43문제 이상 득점 필요
  • 시험 시간 : 120분 
  • 응시 비용 : $100
  • 재응시 제공 : 기본적으로 본시험을 떨어져도 2번 재시험 기회를 제공한다.
  • 시험 환경 : PSI에서 주관하며, 온라인/오프라인 모두 응시 가능하다.
  • 응시 경로 : https://test-takers.psiexams.com/datadog/test
 

PSI Online - One stop Solution for Test Takers

 

test-takers.psiexams.com

 

3. 학습방법

Datadog Learning Center
- 데이터독의 교육 센터의 가면 무료로 제공하는 데이터독 학습 환경이 제공되며, 본시험의 시뮬레이션 테스트 문제 25개를 풀 수 있다.
https://learn.datadoghq.com/courses/datadog-fundamentals-practice-exam
Datadog Docs
- 데이터독 Docs의 사실 모든 데이터독의 대한 설치 및 가이드가 나와 있다. 시간이 여유 있다면 해당 내용들을 한번 정도 훑어보는 것을 추천한다.
https://docs.datadoghq.com/ko/
 

Datadog Docs

Datadog, the leading service for cloud-scale monitoring.

docs.datadoghq.com

  • 그 외 Udemy나 덤프사이트에 가면 연습문제를 결제하여 구매할 수 있다. 시간이 여유 있다면 Datadog Docs를 통한 학습을 추천하나, 시간이 부족하고 빠르게 시험 합격을 원한다면 덤프 구매하는 것이 마음 편할 것으로 생각된다.
  • 실제 문제를 풀어보니 파이썬 관련 문제와, JSON 형태의 데이터독 메트릭 작성 방법 같은 문제들이 나와 예상했던 수준보다 시험이 꽤 어렵게 느껴졌다.

4. 합격 인증

Total Score 47로 턱걸이 합격!

  • 별도 덤프나 강의 없이 무작정 자신감으로 시험 응시를 했는데, 생각보다 다루지 않은 것들이 많아 문제 풀면서 걱정을 했으나, 다행히 한 번에 합격했다.
  • 희귀한 자격증이라 나름 뿌듯했고, 추가로 데이터독 자격증은 취득 필요한 자격증이 남아 있어, 이후 응시 및 합격 이후 내용 공유할 예정

 

0. 취득 배경

2024년 11월 25일 CKA 시험 변경
https://training.linuxfoundation.org/certified-kubernetes-administrator-cka-program-changes/

  • 기존 학습했던 CKA 시험과 변화가 있을 예정의 공지가 발표되어, 시험이 변경되면 기존 학습사이트에서 제공했던 예상 실습이나 공부 방향이, 변경 이후 당분간 혼선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변경 이전 시험을 접수하였다.

1. 학습 방법

Udemy 강의 수강
Certified Kubernetes Administrator (CKA) with Practice Tests

  • CKA를 준비하는 모두가 등록하는 강의를 수강했으며, 강의에서 제공하는 Kodekloud 라는 실습 사이트를 통해 별도의 로컬 쿠버네티스 설치 환경 구성 없이 다양한 실습을 통한 CKA 시험 준비가 가능하다.

Youtube 문제 풀이
CKA Exam Dump 2024 - Full series

  • 실전에서는 Udemy 강의에 Mockexam 등에서 다루지 않는 Ingress, Sidecar와 같이 실습하지 않은 문제들이 출제되는데, 유튜브 영상을 통해 이러한 부분들에 대한 문제 풀이 방식을 익힐 수 있었다.
  • 물론 시험중에 kubernetes.docs 통해 검색하여 문제를 풀 수도 있으나, 생각보다 시험 시간에 당황하게 되면 문제가 될 수 있으니, 유튜브나 블로그 후기 등을 참고하고 가는 것이 빠르게 시험을 마무리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2. 시험 합격

자격증 유효기간은 취득일로 2년이다.

  • 기존 유효기간이 3년에서 금년도 2년으로 변경되었으니, 이부분 참고하여 향후 갱신을 대비하도록 하자!

'Certificatio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tadog Fundamentals 자격증 취득 후기  (3) 2024.10.01

 

1. 블록 스토리지(Block Storage)

  • 블록 스토리지(Block Storage)는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방식이다.
  • 각각의 블록은 고유한 주소를 가지며, 블록들은 독립적으로 관리되고 처리된다.
  • 블록 스토리지는 주로 디스크 기반의 저장 장치에서 많이 사용되며, 가상머신 / 파일시스템 데이터베이스 등의 활용된다.
  • AWS EBS, OpenStack Cinder 같은 서비스를 이해하면 된다.
  • 보다 쉽게 설명하면 운영체제가 설치되고 디스크 형태로 연결되어 있는 스토리지 서비스로 이해하면 된다(윈도 C드라이브, 리눅스 /root)

Block Storage

2. 오브젝트 스토리지(Object Storage)

  • 오브젝트 스토리지(Object Storage)는 데이터를 오브젝트 단위로 저장하는 저장방식이다. 각 오브젝트는 데이터와 메타데이터를 함께 포함하며 고유 식별자로 구분된다.
  • 주로 대용량의 데이터를 다루는 데 사용되며, 대규모 데이터, 미디어 파일, 백업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효과적이다.
  • 오브젝트 스토리지는 파일 시스템이나 블록 스토리지와 달리 데이터의 구조를 갖지 않는 형태로 저장되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유연하게 다룰 수 있다.
  • 오브젝트 스토리지는 여러 서버나 위치에 데이터를 분선 저장할 수 있어서 신뢰성과 내결함성을 제공한다.
  • 대표적인 오브젝트 스토리지 서비스로는 AWS S3, Azure Blob Storage, OpenStack Swift가 있다.

Object Storage

3.  파일 스토리지(File Storage)

  • 파일 스토리지(File Storage)란 데이터를 파일 형태로 저장하는 스토리지 방식이다. 파일 단위로 데이터를 관리하며, 각 파일은 고유한 경로와 이름을 가지며, 디렉터리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 파일 스토리지는 파일시스템의 구조를 따르며, 파일은 폴더(디렉터리) 안에 저장되며, 경로와 파일 이름을 사용하여 식별된다.
  • 파일 스토리지는 주로 문서, 사진, 비디오, 음악 파일 등과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되며, 사용자 및 애플리케이션은 파일시스템을 통해 데이터 액세스가 가능하다.
  • 공유 스토리 형태로 사용이 가능하여, 여러 사용자 및 시스템 간 데이터 공유가 가능하다.
  • NFS, SMB등과 같은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이 이에 해당된다.
  • 대표적인 파일 스토리지 서비스로는 AWS EFS, Azure Files, OpenStack Manila 가 있다.

1. REST API란?

  •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약자이다.
  • REST 아키텍처 스타일을 준수하는 API를 의미하며, RESTful API라고도 부른다.

2. REST 디자인 원칙

  • 균일한 인터페이스(Uniform Interface) 
    • 정보가 표준 형식으로 전송되도록 균일한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
    • HTTP 표준인 URL 과 응답코드, Requset-Response Method 등을 사용해야 한다.
  • 클라이언트-서버 디커플링 (Client-Server)
    • 클라이언트와 서버로 분리되어야하며 의존성이 없어야 한다.
  • 무상태 (Stateless)
    • 상태 정보를 저장하지 않으며, 이용자 및 접근 경로에 따라 결과가 다르지 않고 동일해야 한다.
  • 캐시 가능성 (Cache)
    • 응답 시간 개선을 위한 캐싱을 지원한다.
  • 계층 구조 아키텍처 (Layerd System)
    • REST API는 공개가 될수 밖에 없기 떄문에 요청된 정보를 검색하는데 관련된 서버의 유형을 알수 없도록 설계해야 한다.
  • 코드 온디맨드(옵션)
    • REST API 는 일반적으로 정적 리소스를 전송하지만, 요청을 받아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실행 가능한 코드를 전송할 수 있도록 확장시켜줄 수 있다.

3. RESTful API 강점

  • 확장성
  • 유연성
  • 독립성

4. RESTful API 동작 방식

  • REST API 는 HTTP 요청을 통해 통신함으로써 리소스 내에서 CRUD (Create,Read,Update,Delete) 기능을 수행한다.
  • 클라이언트는 GET을 사용하여 서버의 리소스에 엑세스 가능하다.
  • 클라이언트는 POST를 사용하요 서버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 클라이언트는 PUT을 사용하여 기존 서버의 기존 리소스를 업데이트 할수 있다.
  • 클라이언트는 DELETE를 사용하요 리소스 제거가 가능하다

REST API 동작 방식

1.  대칭키 암호화 (Symmetric Encryption)

  • 대칭키 암호화 방식은 데이터 암복호화시 동일한 키를 사용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 대칭키를 사용하면 빠른 암복호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 단점으로는 암복화를 위해서는 키 공유 과정이 필요하며, 키가 유출 및 탈취 당할경우 보안 문제가 발생될수 있다.
  • 대표적인 알고리즘은 DES, AES 등이 있다.

대칭키 암호화

2.  공개키 암호화 (Public Key Encryption)

  • 비대칭키 암호화를 공개키 암호화라고도 부르며, 공개키와 개인키를 이용하여 암호화 및 복호화를 수행한다.
  • 공개키(Public Key)는 기관 혹은 일반 사용자들에게 공개된 키로 정보 암복호화가 가능하다.
  • 개인키 or 비밀키(Private Key)는 비대칭 키 쌍 중에서 공개되지 않고, 사용되는 키를 의미한다.
  • 공개키 암호화 방식에서 클라이언트가 서버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고, 서버가 자신의 개인키를 활용하여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 하여 사용한다. 
  • 대표적인 알고리즘은 DSA, RSA, ECDSA 등이 있다.

비대칭키 암호화 / 공개키 암호화

 

RAID(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

RAID(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란 여러 디스크를 묶어 하나의 디스크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법이다.

RAID 종류는 사용 방식에 따라 RAID 0 ~ 6 또는 RAID 1+0, RAID 0+1 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RAID 0

RAID 0는 Striping 이라고 불리는 방식이며 구성하는 디스크에 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한다. 이를 통하여 디스크가 성능은 높였으나, 하나의 디스크라도 장애가 발생 시 데이터가 유실되는 단점이 있다. 최소 구성 디스크는 2개이다.

RAID 0

RAID 1

RAID 1은 Mirroing 방식으로 불리우며, RAID 1은 모든 디스크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때문에, 데이터 안정성이 매우 높으나, 저장이 필요한 데이터 용량이 늘어날수록 N배의 디스크 용량이 필요하기 때문에 비용이 높은 단점이 있다. N-1개의 디스크 장애 시까지 데이터 사용이 가능하다. 최소 구성 디스크는 2개이다.

RAID 1

RAID 5

RAID 5는 가장 널리 쓰이는 방식으로 하나의 디스크 스트라이핑과 패리티를 모두 사용하여 디스크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작동할수 있도록 한다. RAID 0의 경우 스트라이핑만 사용하여, 디스크 장애 시 데이터 손실에 대한 안정성이 우려되었으나, RAID 5의 경우 디스크 장애 시 다른 디스크들에 스트라이프 되어 있는 패리티로 재구성이 가능한 강점이 있다. 1개의 디스크 장애 시 복구가 가능하며, 2개 이상 발생 시 데이터 복구가 불가능하다. 최소 구성 디스크는 3개이다.

RAID 5

RAID 6

RAID 6는 패리티가 1개인 RAID 5와 달리 패리티를 2개의 디스크에 저장하여 안정성을 높여 최대 2개의 디스크가 장애가 나더라도 데이터 사용이 가능한 안정성을 보여준다. 최소 구성 디스크는 4개이다.

 

RAID 6

3-WAY HANDSHAKE

 

TCP 통신시에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패킷을 주고받으면 연결을 형성하는 과정 및 방식을을 의미하며, 이름과 같이 3번의 과정이 수행되며 처리 방식은 아래 이미지와 같다.

3WAY HANDSHAKE 과정

1.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측으로 SYN 패킷을 전송하여 연결을 요청한다.

2. 서버에 SYN-ACK 패킷을 회신하여 클라이언트에서 전송한 SYN 패킷을 정상 수신하였고, 연결이 가능한 상태임을 클라이언트에게 알린다.

3. 클라이언트에서 ACK 패킷을 서버에서 전송하여 서버측에서 전송한 패킷을 정상 수신하였으며, TCP 연결을 진행하겠다는 응답을 보낸다

+ Recent posts